품종해설

황금강(黃金剛)

페이지 정보

본문


황금강(黃金剛)

'옥금강(玉金剛)'의 셀프 실생으로 한국에서 작출된 것이다. '옥금강'의 출아(出芽)가 노란(黄色) 색이므로, "황금강(黄金剛)"이라고 이름 붙였다. 하마마쓰(浜松)의 가사하라(笠原茂) 씨가 일본에 가져가 증식, 명명한 것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옥금강'의 '금모단(金牡丹)' 타입이다. 출아(出芽)는 황색의 유령 잎으로 올라가 곧 어두워져(後暗), 아랫잎은 무지엽(無地葉)이 된다. 무늬의 고정성이 좋은, 새로운 타입의 두엽으로 앞으로 기대가 크다. 또한 본종은, 뿌리 끝이 루비근으로 자라기 때문에 인기가 높다. 두엽으로, 출아(出芽)는 유령의 서반계(曙斑系)로 후암된다. 신아(子)의 어린잎은 감복륜(紺覆輪)을 걸거나, 부모의 잎에 감의 이접반(紺耳摺斑)을 나타내므로, 본질적으로는 「백운각(白雲閣) 예(芸)」 즉 후암의 중투 예(中透 芸)라고도 할 수 있다. 니축으로, 붙음매는 파형이다.

c0f602fd0a29a5cfa47a34c46057f2c9_1760128066_8843.jpg
 

품종해설

Total 1,791건 14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