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종해설

금모단(金牡丹)

페이지 정보

본문


금모단(金牡丹)
감성(紺性)이 좋은 소형 종으로, 출아(出芽)는 백황색(白黃色)의 유령(幽霊地)으로 자라며 곧 잎끝에서 녹색이 올라와서, 천엽에서 두 번째 정도에는 무지엽(無地葉)이 된다. 소위 말하는 서반(曙斑)에 해당하는 예(芸)다. 1892년경 아이치현(愛知縣)의 카토(加藤芳松)씨 난실의 '흑모단(黑牡丹)'에서 변화된 것이다. 예로부터 인기가 높은 품종으로, 그 인기는 루비 뿌리라고 하는 선명한 적자색(赤紫色) 뿌리 끝의 아름다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햇볕이 강하면 소두반(小豆斑)이 많아져서 보기 불편하다. 뿌리가 잘 자라지 않기 때문에 볕을 조금 약하게 키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잎살이 두꺼운 직도형(直刀型) 잎으로, 잎 뒤에는 묵(墨)도 흐른다. 출아(出芽)는 유령으로 자라는데, 감선(紺線)을 동반할 때도 있다. 약간 잎이 길고 묵이 잘 나오지 않는 계통도 있고, 이쪽은 튼튼하고 자식(신아) 내기도 좋고, 대형으로 인기가 높다. 짙은 니축에 루비근으로, 붙음매는 월형이다.
f0c960241487e965672dc66c522ff69f_1745876633_7663.jpg

품종해설

Total 1,769건 14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