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풍(吟風)
페이지 정보
관련링크
본문
음풍(吟風)
아마미계 풍란의 자생종 선별품으로, 묵(墨)을 흘리면서 노랑 줄무늬(黃縞)가 들어가는 이예품(二芸品)품이다. 그러나 황호가 화려해지면 묵이 적어진다. 또한, 무지 잎(無地葉)에 가까워질수록 묵 예(墨芸)가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기대되는 이예품이지만, 좋은 무늬물(上柄 木)은 적고, 무늬가 없는 잎에 묵 예로만 된 그루(株)가 많다. 그러나 재배 중에 무지 잎 그루에서도 縞가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약 1998년경 아이치현(愛知)의 난 생산업자(吟風園)가 출하용으로 입수한 아마미계 풍란(德之島 産의 산채 품)을 재배하던 중에, 신아에서 호가 나온 것으로, 이를 본, 아이치(愛知)의 이토 씨(伊藤守氏)가 "음풍(吟風)"으로 명명한 것이다. 그 후 다양한 변화 개체가 나타남에 따라, 「백호(白縞) 개체를 "환풍(歡風)"으로, 맹황호(萌黃縞)를 "훈풍(薰風)"으로, 호반(虎斑) 개체를 "현풍(玄風)"으로, 縞가 없고 묵(墨)만의 개체를 "감풍(紺風)"으로, 그리고 黃縞 개체를 "음풍"으로, 니시구치(西口郁夫) 씨가 각각에 따로 이름을 붙였다」잎은 폭이 넓은 희엽으로, 잎 앞뒷면에 묵이 흐르며, 선천성(先天性)으로 황호(黃縞)가 들어갔다. 축은 아마미 풍란 특유의 니가 강하게 나온다. 뿌리는 니근으로, 붙음매는 월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