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종해설

삼복(三福). 삼보금(三寶錦)

페이지 정보

본문


삼복(三福). 삼보금(三寶錦)
보통의 평균적인 잎 모습인데, 청축에 묵류(墨流)의 예(芸)가 있고, 흰 줄무늬(白縞)가 들어간다. 그래서 "삼복(三福)"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부모(親)는 가고시마현(鹿児島県) 산의 청축 묵류의 예로, 묵이 많은 것은 소형이 되고, 묵이 적은 개체는 보통 크기가 된다. 마치 '묵류(墨流)'와 같은 예이다. 이 품종은 그 묵이 적은 것에 백호(白縞)가 나타난 것이다. 縞는 처음에 연노랑(萌黃)으로 나와 희게(白) 밝아지며, 고엽이 됨에 따라 다시 어두워지는 특이한 유형의 縞로, 그다지 화려함은 없는 은은한 縞이다. 부모는 '묵류' 타입이므로, 그 호에서도 '접묵(摺墨)' 형태의 소형에 묵이 많은 자식(子)이 태어날 가능성도 있어, 기대되는 호물(縞物)이다. 또, 이 품종에는 복륜과, 중반(中斑) 개체도 있으며, 중반은 복륜에 비해 수수하지만, 묵을 동반하는 중반은 각별하다. 중반 품종은 약간 무광 질감의 잎에 묵을 같이 흘리는 독특한 모습은 꾸밈이 없이 담담(枯淡)하고 소박한 느낌이다. 동종 이명(同種異名)으로, '삼보금(三寶錦)'이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e8e01f1c612f9de3628cdd3e7c09b7ba_1739354485_4972.jpge8e01f1c612f9de3628cdd3e7c09b7ba_1739355461_5334.jpg

품종해설

Total 1,792건 12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