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종해설

이세왜계(伊勢矮鷄). 성대(聖代)

페이지 정보

본문


이세왜계(伊勢矮鷄). 성대(聖代)
잎 폭이 넓은 보통 풍란에, 잎 길이만 절반으로 줄인 듯한 인상이다. 伊勢国(현재 三重県)에서 나온 것이다. 옛날에는 '금공작(金孔雀)'의 모종(母種)이라고 전해졌으나, 잎살의 두께 등 차이점이 많아, 현재는 전혀 다른 종이라는 견해가 널리 인식되어 있다. 광택이 좋고, 감성(紺性)도 강하다. 분류상으로는 두엽 종에 속하지만, 다른 두엽 종들이 붙음매까지 변화하거나 꽃도 주로 하늘피기가 많은 반면, 본종은 붙음매도 일반적인 월형이고 꽃도 평범한 보통 꽃으로 피어나 두엽 종과는 차이를 보인다. 니축에 니근이다. 또한 뿌리 끝 색만 청근으로 바뀐 것이 있는데, 이를 「청근 이세왜계」로 부르다가 현재는 '성대(聖代)'라는 별명으로 유통되고 있다.
- 아래 영상은 "성대" -6c311fbb18df7ad40db9f06007de0b5b_1754342126_9453.jpg

품종해설

Total 1,785건 126페이지